본문 바로가기
바다

지구의 2/3는 바다, 바다는 거대한 소금물이다.

by 리엔정 2023. 2. 25.
반응형

바다로 덮인 지구

지구의 대부분은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과 산소 공급원으로서 인류 생존에 꼭 필요한 존재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 환경오염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인간에게 다시 돌아와 우리의 삶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제사회 및 각 국가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으로는 크게 UN 산하 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과 정부 간 협의체로서 1992년 리우회의 이후 설립된 유엔지속가능발전(UNCSD)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유엔환경계획(UNEP)은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 관련 국제기구이며, 특히 2030년까지 모든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해 각국 정상급 인사들과의 협력을 통한 글로벌 정책 수립, 이행 지원, 과학기술협력센터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는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로,

총 23개국 장관급 대표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 위원회는 경제성장, 사회통합, 환경보전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한 SDGs 이행 현황 점검 및 평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17개 의제별 실무그룹 회의를 개최하여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한국정부는 2018년 12월 「제5차 신(新) 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확정함으로써 파리협정 발효 후 국내 여건에 맞는 중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마련하였으며, 2019년 6월에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올해 1월에는 그린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2025년까지 약 73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만 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5월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를 개최하였고, 7월에는「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안에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 탄소중립 기반 구축, 휴먼 뉴딜 확대라는 3가지 방향성 아래 10대 과제가 선정되었다. 현재 많은 국가들이 각자의 상황에 맞게 여러 방면에서 친환경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실행방안보다는 선언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실질적인 성과 도출 여부 역시 불투명하다.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범국가 차원에서의 긴밀한 공조체계 구축뿐만 아니라 민간기업 참여 유도 방안 모색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바다

지구의 2/3는 바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며 생물권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과 산소 공급원으로서 인류 생존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 환경오염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인간에게 부메랑처럼 돌아와 우리 삶을 위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기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 및 각 국가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으로는 크게 UN 산하 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과 정부 간 협의체로서 1992년 리우회의 이후 설립된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목표로 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 관련 국제기구이며, 특히 2030년까지 모든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해 각국 정상급 인사들과의 협력을 통한 글로벌 정책 수립, 이행 지원, 과학기술협력센터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는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로, 총 23개국 장관급 대표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 위원회는 경제성장, 사회통합, 환경보전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한 SDGs 이행 현황 점검 및 평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17개 의제별 실무그룹 회의를 개최하여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한국정부는 2018년 12월 「제5차 신(新) 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확정함으로써 파리협정 발효 후 국내 여건에 맞는 중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마련하였으며, 2019년 6월에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린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2025년까지 약 73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만 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5월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를 개최하였고, 7월에는「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안에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 탄소중립 기반 구축, 휴먼 뉴딜 확대라는 3가지 방향성 아래 10대 과제가 선정되었다. 현재 많은 국가들이 각자의 상황에 맞게 여러 방면에서 친환경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실행방안보다는 선언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실질적인 성과 도출 여부 역시 불투명하다.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범국가 차원에서의 긴밀한 공조체계 구축뿐만 아니라 민간기업 참여 유도 방안 모색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바다는 거대한 소금물

바다 또는 다른 말로 해양은 지구 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양의 면적은 3억 6,105만 km 2에 이르고, 해수의 부피는 13억 7,030만 km3에 이른다. 해양의 깊이를 평균하면 4,117m가 되며, 최대 깊이는 11,034m이다. 또한 얼어붙은 바다는 유빙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대양과 연결된 넓은 해역을 의미하며, 카스피해나 육지에

둘러싸인 경우에도 바다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 나라가 영유하고 있는 바다는 영해라고 부른다. 바다에는 소금이 덮여 있기 때문에 어는점이 평균 섭씨 -1.91도로 담수보다 어는점이 낮다. 러시아, 캐나다 등의 한대기후 지역에 위치한 바다는 얼어붙기 쉽다. 바다의 색이 파란 이유는 빛의 산란의 결과물이다. 태양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는데 푸른색을 띠는 바로 이 짧은 파장의 빛 때문에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모래나 산호, 물고기 등이 많은 경우 태양빛이 부딪혀 다른 파장의 빛이 산란되어 바닷물의 색이 다양한 색으로 보일 수 있다. 바다는 지구상에 최초로 생명이 탄생한 곳이다. 많은 생명체가 살고 있다. 또한 해양은 옛날부터 인간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

반응형

댓글